거시량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데이터 교차 검증용 다른 분석툴을 활용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하지만 크리스마스는 계절이라는 특수성이 있었기에 어느 툴이나 유사하게 나왔다.
예를들어, 편의점 도시락 검색시
네이버와 카카오는 유사한 그래프를 그렸지만,
구글은 유사한 데이터를 그리지 않았다. 아무래도 편의점도시락을 검색하는 이유는 리뷰를 보기 위해 검색을 할텐데,
가설1. 리뷰가 잘 서칭되는 네이버와 다음에서 많이 검색을 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러한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구글에 편의점 도시락 연관검색어라던가,
편의점도시락을 검색했을때 추천순위를 노출한다거나 판매처를 보여주는 결과가 '잘'보였다.
근데 생각해보면 내가 만약 편의점도시락의 내용이나 가격이 궁금해서 인터넷 서칭이 필요하다면, 만만한 네이버에서 검색 할 것 같다. 왠지 최신 블로그 게시글이 많을 것 같고, 주관적인 맛평가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가설2. 주관적인 맛 평가를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네이버를 이용할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네이버가 훨씬 주관적인 정보를 전달(블로그 밀어주기)하는데 힘쓰는 느낌이 있다. 편의점 도시락 특성이 20-30대가 주로 이용한다고 생각을 했을때 커뮤니티(10대)와 뉴스기사(40~대)를 노출하는 구글보다는 블로그(20~30대)를 이용하는 이들이 찾을 것이다.
업계트랜트파악
산업의 동향, 고객의 관점, 매출 관점에서 검색할 수 있고 이러한 검색 결과는 모두 다르게 나올 것이다.
고객의 관점이라면, 기존 가지고 있는 문화와 니즈가 어떻게 변했을지
매출 관점이라면, 매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글 검색시 명령어 입력으로 얻고자 하는 확실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표나 통계자료 필요시 검색어PDF 로 검색 등
구글 검색시 검색어 명령 활용
- 반드시 포함될 단어/문장을 지정할 경우 : 큰 따옴표(")
- 예: "편의점 도시락"
- 제외할 검색어를 지정할 경우: 마이너스(-)
- 예: 편의점 도시락-이벤트
- 정확한 검색어가 떠오르지 않을때 : 단어사이 별표(*)
- 예: 편의점 도시락*간편식
- 두단어 중 아무거나: or
- 예: 편의점 도시락 or 간편식
브랜드, 서비스, 제품 키워드로 경쟁사 현황을 분석해보자.
마구잡이로 브랜드를 검색하기 보다 그룹별로 비교하는게 좋다. 같은 품목이라도 저가, 고가, 선발주자, 후발주자 등으로 groupping 하고 언급량 추이와 화제성을 살펴보자.
이 데이터를 가지고
네이버 검색광고(가입해야함)를 통해 자세한 분석을 할 수도 있다.
검색량도 월평균 클릭수의 경우 gs25가 가장 많다.
gs25와 두개의 브랜드의 격차가 상당히 크다. GS가 편의점 상품을 주도 하고 있는걸로 봐도 좋을 것 같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빅데이터 결과 보고서 작성법 - 4 (0) | 2021.12.27 |
---|---|
데이터 기반 문제정의를 위한 연관어 분석/가설 수립/인과관계 분석(크리도시락) -3 (0) | 2021.12.27 |
데이터로 공감할 수 있는 '키워드' 조사 방법(크리스마스) -1 (0) | 2021.12.26 |
소셜분석과 인사이트 도출 (0) | 2021.12.26 |
네이버 서비스기획 인턴십 자소서 작성법 가이드 (0) | 2021.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