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에서 요소를 클릭할때, 정확하게 그 요소를 클릭하지 않아도 클릭 처리를 해야한다. 작은요소라면 더더욱이 필요하다. 내가 원하는 요소가 클릭이 쉽지 않다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고 다른 사이트를 이용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쉽게 클릭하기 위해서 요소에 패딩값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패딩이 설정된 여백을 클릭하더라도 해당 요소에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디자인 패널의 우측 TEXT 영역에 양쪽을 가르키는 화살표가 선택되어있을 것이다. 패딩이 설정되지 않은 순수한 텍스트 크기에 맞게 설정된 값이다.
패딩을 주기 위해서 해당 요소를 클릭한 뒤
SHIFT+A를 클릭하여 오토레이아웃(패딩)이 설정되는 것을 확인한다.
사각형 안 사각형이 들어간 아이콘 우측에 표시된 '10'을 확인할 수 있다.
10만큼의 패딩이 설정되었다는 의미이다.
또는 ALT를 이용하여 어느정도의 여백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 컴포넌트화 된 요소에는 패딩을 적용할 수 없다. 컴포넌트화 하기 전 패딩을 설정할 것. (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이게 가장 어렵다......... ㅎ.. 레이아웃은 쉽게 수정될 여지가 많으니)
전체적으로 오토레이아웃이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백을 선택하더라도 해당요소에 접속할 수 있다.
'메일'요소의 패딩을 선택하더라도 메일 URL 로 접속한다.
반응형
'디자인 > UI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그마 사용법] 추천 기초 플러그인 및 설치, 사용방법 (0) | 2021.12.23 |
---|---|
[피그마 사용법] 구글 머터리얼 디자인 플러그인 설치 (0) | 2021.12.23 |
우와! 인기앱 온보딩, 스크린샷 사이트 벤치마킹 여기서 다 한다 (0) | 2021.08.24 |
하단 네비게이션 탭바(tab bar)에 대하여 (1) | 2021.08.19 |
XD 클라우드 문서 삭제 하는법 (feat. 열기) (2) | 2020.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