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열... 복잡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엄청나게 복잡하지는 않은 것 같다.
그러니까 조건에 맞는 조건'열'을 현재 표의 열의 마지막에 추가하는 것이고
출력을 1. 특정 열의 값으로 할 것인가 2. 내가 직접 입력하는 값으로 할 것인가를
고르면 되는 문제 인 것 같다.
조건열을 이용하는 경우는
표가 있는데 정형화 되지 않은 표일 경우, 정형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엑셀 파워쿼리에서 파일이나 어떤 것을 불러오고 불러온 값을 '열추가 - 조건열' 에서 항목을 설정한다.
새 열의 이름
조건 : 열 이름이 연산자와 어떤 관계가 있을 때(IF) 항목이 결과가 어떤 값으로 출력이 된다.
기타(IF NOT) : 그게 아니면 어떤 값으로 출력이 된다.
'기획 > 데이터 리터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쿼리를 통한 데이터 활용법(코드리스 데이터 분석)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상관계수 (0) | 2021.12.20 |
---|---|
엑셀 파워쿼리 피벗 열, 열 피벗 해제하기 / 열분할 시 따옴표 구분 방법 (0) | 2021.12.17 |
엑셀 파워쿼리 엑셀파일, 폴더 연동하기 (0) | 2021.12.16 |
엑셀 파워쿼리 공공데이터 API 연동하기 (0) | 2021.12.15 |
엑셀 파워쿼리 기초, 네이버 금 국내 증시 실시간 연동하기 (0) | 2021.12.15 |
댓글